(1) 일본 가문(家紋)의 역사

대륙으로부터의 영향을 많이 받던 헤이안(평안) 시대(794-1185)에 귀족들이 일상 생활 용품, 의상, 우마차에 붙인 것이 시작이라고 말해진다. 이렇게 해 붙였던 문양 중 일부가 결국 귀족의상징인 가문(家紋)으로서 정착했다.

또, 전국시대(戦国時代)에 퍼진 무가문(武家紋)은, 전쟁중의 적과 아군의 식별이나, 전공(戰功)의 명시를 위해여 퍼져나간 것 으로 보이는데, 초기의 무계가문은 가마쿠라 시대 초기(鎌倉時代初期)에 깃발, 무기 등에 붙이기 시작했다고 생각되고 있다.  이것이 에도시대에는 예복에의 사용이 정해져 디자인도 우아하게 되는 등 의식화가 진행되었다.
유복한 평민들도 이것을 흉내내 여러가지 문양을 만들었으므로, 가문은 그 종류가 다양해 져 오늘에 이르고 있다.

(2) 일본 가문의 모티브

가문에 많은 사용되는 모티브는, 주변의 자연이나 기물이다. 활과 화살, 투구등의 「힘의 상징」적인 것도 있지만, 아름다운 것, 경사스러운 것, 제구등 넓은 범위의 모양이 모티프가 되고 있어 서양의 그것과는 약간 정취를 달리하고 있다. 그 종류는 현재 300에서 400종)에도 미친다고 한다.

또한 桐(오동나무)나 藤(등나무)등의 문양을 보면 알 수 있듯이, 각 모티프에는, 수량이나 丸(환)의 유무등에 의한 풍부한 변화형이 있다.  이러한 각 모티프의 변화형을 포함하면,가문의 총수는 8000을 넘는다 (20,000이상이라고도 말한다)

桐の紋(키리노몬 오동나무 문양)에 관하여

오동잎과 꽃을 형상화 한 것.오동나무의 종류는 많지만, 그중에서도 특히 벽오동(白桐)이 문장으로 사용되었다. 성왕의 출현을 알리는 길조 봉황이 깃든 나무라고 하여 길조적 의의에 의거한다.오동의 문양이 봉황이나 대나무와 함께 의복에 이용된 것은, 헤이안 초기의 황족의 사이에 중국풍의 멋장이로 불리우던 사가 천황( 嵯峨天皇 820 년 전후)이라 한다.

오동문양의 가문이 넓게 이용되게 된 계기는 무로마치의 초대쇼군 아시카가 다카우지 (足利尊氏가 고다이고 천황(後醍醐天皇)으로부터 桐紋을 하사받은 것을 계기로 한다.
그후 쇼군가인 足利家가 봉건영주들에게 장군계에 기여한 공로를 치하하는 과정에서 물품, 즉 영지나 금은에 비해 돈을 안들이고 권위를 유지할 수 있는 방법으로서 훈공의 보상으로에 桐紋의 하사를 남발한 것이 시작.

三好義興・松永久秀・上杉謙信등은 무로마치 시대의 쇼군(将軍)인 足利義輝(아시카가 요시테루)로부터 전공의 상으로 하사 받았으며, 織田信長(오다 노부나가)・細川藤孝(호소카와 후지타카) 는 당시의 쇼군 足利義昭(아시카가 요시아키)로부터 주어졌다.  오다 노부나가도 아시카가 쇼군을 모방해 가문의 하사를 남발하였으며, 히데요시에게는 전쟁을 승리로 이끈 보훈으로 도요토미성과 桐紋을 주었다.

"원래 아시카가 문양이었는데, 오다노부나가가 아시카가 요시아키로부터 뺏어서 히데요시에게 주었다"고들 하는데, 빼앗았다기보다 당시의 힘의 바란스로 보아 상징적 권위가 위였던 쇼군가이긴 하나 힘으로는 오다노부나가가 훨씬 위였으며 경제적으로는 물론 군사적인 면에서 아시카가계를 돌보고 있던 관계로 하사하는 형식을 빌리긴 하였으나 강요하여 받아 낸 것이나 다름이 없다고 보여진다. 

히데요시가 노부나가로부터 가문을 부여받은 것은 그가 세운 전공에 대한 보답이었고, 히데요시가 관백이 된것은 노부나가가 죽고 노부나가를 사사한 아케치 미츠히데를 히데요시가 치고 정권을 잡고도 한참 후의 일이니 가문사용과 관백과의 직접적인 관계는 없다고 본다.  단, 히데요시가 오동나무의 가문을(桐の紋)을 받고 나서, 그는 관백에 까지 출세를 하였고 오동나무 문양은 국화에 이은 명예 있는 문양이 되어진 탓에 세인들 사이에 대유행을 낳은 결과가 되었다.

이렇게 대 유행을 하여 너나 할 것 없이 오동나무 가문을 사용하자 히데요시는 桐紋을 세인들이 사용하지 못하도록 금지령을 내렸다. 그런데도 이 오동나무 문양을 가문으로 삼고 싶어하는 사람이 끊어지지 않았으며 에도막부 말기에는 桐紋을 이용하는 家系는 거상을 비롯한 전체의 가문의 5분의 1에도 미치고 있었다.

어쨋든 이러 저러한 이유로, 桐紋은 菊紋과 함께 황실을 상징하는 문양으로서의 가치는 보관 유지하고 있지만, 菊紋은 귀족들이 그사용을 스스로 사양한 관계로 천황가의 상징으로 남아 있을 수 있었으나, 오동문양(桐の紋)은 황실 전용의 문양은 아니게 되었다.    메이지 유신 이후, 막부가 무너지고 왕정복구가 성공하므로서 원래 천황계에서 막부에 하사하였던 桐紋중에서 五三桐紋을 내각의 상징으로 사용하게 된 것이다.  다시 말하자면 이 오동나무 문양의 가문의 상표권은 원래 천황가가 가지고 있으며 로열티를 지불하면(천황가에 공훈을 세우거나 실제로 금전적 도움을 주거나) 사용하게 해 주는 그런 게 아닐런지?

메이지 유신 이후, 막부가 무너지고 왕정복구(大政奉還)가 성공하므로서 원래 천황계에서 막부에 하사하였던 桐紋 중 五三桐紋을 내각의 상징으로 사용하게 되었다.

添付画像

        五七の桐             丸に五三の桐           五三の鬼桐          松江桐 中陰             五三の桐             三つ割五三の桐

添付画像
        五三の割り桐       入れ違い割り桐           鶴割り桐                 浮線桐           外向き三つ割り桐          利休桐
添付画像
           五三桐               陰踊り桐                 太閤桐           隅切り角に五三桐          桐枝丸                 羽根桐


桐紋은, 꽃과 봉오리의 수로 가르는데, 五三의桐, 五七의桐, 五四의桐, 九七의桐, 閉의桐, 137의 桐등이 있다.꽃자루와 외형으로 보면, 太閤桐、対州桐、嵯峨桐、花桐、乱桐、光琳桐 등의 특징이 있다.그 밖에, 桐竹、浮線桐、桐蝶、浮線桐蝶、桐車등, 변형문도 많다.

※봉황과 오동나무의 관계는, 화투에 나타나 있다.

어쨋든 메이지에 처음 만들어진 20엔 금화에는, 표면에 황실의 상징인 日月旗와 국화, 정부(내각)의 상징인 오동의 문양을 배치. 그 이후 동전의 디자인에 국화나 오동이 많이 이용되었지만, 2차 세계대전 패전후는 후지산이나 벼, 비둘기가 이것으로 바뀌었다. 그후 쇼와 30년의 구50엔 니켈화에 국화문양이 부활, 현5백엔 동전에는 또다시 오동문양이 등장하고 있다.


日本と国章

현재, 일본에는 국 장을 정하는 법령 등은 없다. 그러나, 메이지 이후, 천황가의가문인 「16변여덟 겹표국 十六弁八重表菊」이 국장에 준한 취급을 받고 있으며, 일반적인「57의 동화문(五七の桐花紋)」이 수상 그리고 정부(내각)의 문장으로서 관례적으로 이용되고 있다.
                       

           황실의 가문                              수상, 내각의 가문
         十六弁八重表菊紋                            五七桐花紋


덧붙여 일본의 여권(패스포트)의 표지에 이용되는 「16변홑겹표국문」은, 국화 문장을 닮아 있지만, 여덟 겹과 홑겹의 차이가 있다.

   
황실의 가문과는 다른 日本の旅券의국화문양,         그리고 고이즈미 전 수상과 五七桐花紋




일본의家紋(かもん、가문, Family crests)이란

특히 일본에 있어 출자, 가계, 혈통, 집안을 나타내는 기호·문장으로서 오래 전부터 전해져 이용되어 온 意匠(문양)을 가리킨다. 각 집안으로 정해져 있는가문 가운데, 정식적 것을 定紋(じょうもん)혹은 表紋(おもてもん)이라고 한다. 각개인이 정해져 이용하는 문을 定紋이라고 하기도 한다.

또 신사나 절에서도 각각에 이용하는 고유의 紋이 있지만, 특히가문과 구별해 그러한 문은 神紋(しんもん)이나 寺紋(じもん)으로 불린다.  각 학교에 있어서도 校章이나, 회사 등 사단법인에는 社章도 존재하지만, 家紋의 수나 종류와 비교하면 압도적으로 적기 때문에, 일본의 문장학자의 사이에서는 「紋章=家紋」이라고 하는 인식이 일반적이라고 말해 질 정도이다.

영어권에서는 기호(Symbol)는 추상적인 도안을 가리켜, 문장(Emblem)은 시각적인 도안을 가리킨다. 일본의가문은 두장식의 의미로부터 Family crest, Crest를 이용하지만, Kamon에서도 통하는 경우가 있다.

添付画像
家紋의例(花菱紋=하나비시 문양)

家紋(かもん、Family crests)とは、特に日本において出自、家系、血統、家柄を表す記号・紋章として、古くより伝わり用いられてきた意匠(紋)を指す。 各家で決まっている家紋のうち、正式なものを定紋(じょうもん)あるいは表紋(おもてもん)という。各個人が決まって用いる紋を「定紋」ということもある。

また神社や寺でも各々に用いる固有の紋があるが、特に家紋と区別してそれらの紋は神紋(しんもん)や寺紋(じもん)と呼ばれる。様々な各学校においては校章や、会社など社団法人には社章も存在するが、家紋の数や種類と比べると圧倒的に少ないため、日本の紋章学者の間では「紋章=家紋」という認識が一般的と言われるほどである。

英語圏では記号(Symbol)は抽象的な図案を指し、紋章(Emblem)は視覚的な図案を指す。日本の家紋は兜飾りの意味からFamily crest, Crestを用いるが、Kamonでも通じる場合がある。

出典: フリー百科事典『ウィキペディア(Wikipedia)』


家紋

武家(武士)- 무계家紋의 기원은 전쟁터에서 자신의 활약을 과시하기 위해서 각자가 고유의 문양을 새긴 깃발을 높이 세운것으로부터 시작이었다고 생각할 수 있다. 일본 전통의 무신사회에 있어서, 훈공을 세우는 것은 가문에 공헌하는 것으로 여겨졌고, 그로인하여 전장에서의 자기가 어느 가문에 속해있는 무사인지 확실히 할 필요가 있었기 때문에 그 家門을 상징하는 家紋을 자신들의 상징으로 이용되게 되었다.

한편, 公家(貴族- 문반)의가문은, 수례나 가마에 개인의 문양을 붙였던 것이 그 시작으로 그것이 나중에는 각 집안의 문양으로서 발전하며 갔다고 생각할 수 있다. 단지 원래  어느 집을 식별하기 위해서 문장을 가지고 한다고 하는 발상 그 자체가 武家의 발상인 것을 감안 한다면 文家의家紋은 무가를 모방해 「만들어진 전통」인 것이 많다고 보여진다.
어찌하였던간에 武家이건 文家이건 그 혈통 또는 본래의 귀속 세력은 몇개의 그룹으로 크게 나눌 수 있고, 그들 전통적 家門 상징하는 각각의 대표적인 문양과 그 바리에이션으로 구성된다.
 
예를 들면 「源平藤橘」이라고 불리워지는  源氏、平氏、藤原氏、橘氏 가 그 대표이다. 그 외, 각지의 호족이 각각 새롭게 창작한가문이 현대까지 전해지고 있는 것도 있다. 에도시대에 들어서면서, 일반 서민에게도 가문의 사용이 퍼져, 현재에도 거의 모든 집에 하나 이상의가문이 정해져 있다. 귀족등 극히 한정된 사람들 밖에 집의 문장을 이용하지 않는 유럽 각국과는 대조적이다.
 
 
 
神紋(しんもん)
 

添付画像
← 十六弁八重表菊紋。
   天皇家の御紋(家紋)천황계의 가문

神紋(신문)에는 각神寺(신사)와 연고가 있는 公家(문반)・武家(무반)の家紋(가문)이 사용되어 지기도 하였으나 그외에 중국의 당나라 시대의 도안이나 유서재수에 관련되는 도안 등, 독자적인 으로 만들어진 도안이 이용되고 있는 경우도 많다. 신관의 계통의 가계에서는, 신문(神紋)이가문(家紋)이 되기도 한다.   花菱紋、柏紋등이 있다
 
 


添付画像


← 神紋의 대표적인 例(丸に三柏紋)菊花紋章(きくかもんしょう、きっかもんしょう)

일본의 황실을 나타내는 장.16변의 8겹국화(야에키쿠)를 도안화한 문장(가문)인 것부터, 16변여덟 겹표국문이라고도 한다. 주로 국장(国章)에 준한 취급을 받고 있다.

가마쿠라 시대, 고토바 상황(後鳥羽上皇)이 무엇보다 국화를 좋아해 스스로의 상징으로 애용한 것이 시작으로 그 훨씬 훗날 後深草天皇・亀山天皇・後宇多天皇스스로의 상징로서 계승하므로서 암묵중에 황실의 문으로서 정착했다.

공식으로 황실의 문으로 여겨진 것은 1869년(메이지2년)의 태정관포령에 의한다.이 때, 천황의 문장으로서 16변여덟 겹표국문이, 그 외 황족의 문장으로서 14변홑겹리국문이 각각 정해졌다.또, 1871년에는 황족 이외의 국화문의 사용이 금지되고 있다.현재는, 금이 풀려 있다.

전쟁 전, 전함 다이와 등, 대일본 제국 해군의 군함의 함수에 붙여져 있었다.현재에도 재외 공관에 첨부 된다.또, 일본 발행의 여권의 표지에는 국화 문장을 닮은 「16변홑겹표국문」이 그려져 있다.


<日本の十大家紋>



家紋の分類 


① 藤紋 FUJI-MON

添付画像

    丸に下がり藤       丸に上がり藤     陰下がり藤       柴田藤     軸付き変わり一つ藤巴     六条藤

添付画像

     三つ藤巴        二つ藤巴        九条藤        長下がり藤       下がり散藤       上がり散藤
添付画像
   葉上三つ葉藤      丸に三つ葉藤   六角三つ割り藤崩し    向い藤崩し        上り藤        下り藤に橘



②桐紋 KIRI-MON
添付画像

        五七の桐             丸に五三の桐           五三の鬼桐          松江桐 中陰             五三の桐             三つ割五三の桐

添付画像
        五三の割り桐       入れ違い割り桐           鶴割り桐                 浮線桐           外向き三つ割り桐          利休桐
添付画像
           五三桐               陰踊り桐                 太閤桐           隅切り角に五三桐          桐枝丸                 羽根桐



③ 鷹の羽紋 TAKANOHA-MON
添付画像
丸に右重ね違い鷹の羽  丸に違い鷹の羽    陰違い鷹の羽     三つ並び鷹の羽    丸に五つ鷹の羽車   六つ鷹の羽車
添付画像
  丸に三つ鷹の羽車   丸に並び鷹の羽    丸に一つ鷹の羽    割り折れ鷹の羽菱     抱き鷹の羽    割り六つ鷹の羽車
添付画像
   浅野鷹の羽              隅切り角に違い鷹の羽   石持ち地抜き違い鷹の羽         中村鷹の羽               割り浮線鷹の羽    五つ鷹の羽丸に違い鷹の羽
 


④ 木瓜紋  MOKKOU-MON
添付画像
         唐木瓜                 剣木瓜           丸に剣四方木瓜       糸輪に立ち木瓜             木瓜菱             丸に四方木瓜
添付画像
         丸に木瓜           三つ割り木瓜               陰木瓜              三つ盛り木瓜             庵木瓜               中津木瓜
添付画像
           織田瓜              丸に剣木瓜     石持ち地抜き四方木瓜  石持ち地抜き木瓜         四方木瓜        木瓜に二つ引き



⑤ 片喰紋   KATABAMI-MON
添付画像
        丸に剣片喰            丸に片喰                   片喰             丸に出剣片喰           丸に三つ割り          片喰 裏片喰
添付画像
    石持ち地抜き片喰         捻り片喰               中陰片喰         隅入り平角に片喰      丸に三つ割剣片喰        光琳片喰
添付画像
     菱に地抜き片喰       隅切り地抜き片喰        総陰片喰          三つ盛り片喰            菱に覗き片喰           二葉片喰



⑥ 蔦紋 TSUDA-MON
添付画像
             蔦                 丸に三つ蔦         糸輪に蛇の目陰蔦         糸菱に蔦                  鬼 蔦                大割り蔦
添付画像
            丸に蔦                 利休蔦               大陰光琳蔦              中陰蔦                 昭和蔦                 蔦の花
添付画像
           陰 蔦             外三つ割り蔦               割り蔦                三つ割り蔦          石持ち地抜き蔦        糸輪に覗き蔦



⑦ 茗荷紋  MYOGA-MON
添付画像
        丸に抱き茗荷       丸に陰抱き茗荷      丸に陰陽抱き茗荷        抱き花杏葉         大割り抱き茗荷           稲垣茗荷
添付画像
        三つ茗荷巴            入れ違い茗荷         一つ茗荷丸          丸に違い花杏葉         違い茗荷            二葉違い茗荷
添付画像
         抱き茗荷        丸に八つ割り抱き茗荷     一つ茗荷の丸    石持ち地抜き抱き茗荷     陰抱き茗荷       入り込み抱き茗荷



⑧ 沢瀉紋  MODAKA-MON
添付画像
       丸に立ち沢瀉       中輪に抱き沢瀉        丸に陰立ち沢瀉          沢瀉に水           変わり抱き葉沢瀉      三つ追い沢瀉
添付画像
      三つ追い葉沢瀉         向こう花沢瀉          六角に葉沢瀉              沢瀉巴            違い葉沢瀉         八重向こう沢瀉
添付画像
       井桁に立ち沢瀉         丸に抱き沢瀉      丸に抱き葉沢瀉   石持ち地抜き立ち沢瀉  石持ち地抜き抱き沢瀉   陰抱き沢瀉


⑧ 柏紋 KASHIWA-MON
添付画像
           三つ柏              丸に3つ柏            丸に変わり三つ柏       中輪に鬼三つ柏    石持ち地抜き三つ柏    丸に剣三つ柏
添付画像
      丸に変わり三つ柏       丸に土佐柏                蔓 柏             隅切り角に三つ柏        丸に並び柏            三枚抱き柏 
添付画像
         総陰抱き柏          丸に一枚柏              丸に抱き柏              細抱き柏            丸に違い柏             陰の三つ柏


⑩ 橘紋  TACHIBANA-MON
添付画像
             橘                    丸に橘                   菊座橘                陰の橘                 橘崩し橘              日蓮宗橘
添付画像
          菱に橘                  団仙橘                 六角橘            頭合わせ三つ割り橘     八重向こう橘        三つりんどう橘
添付画像
           向い橘               立ち三本橘             陰向こう橘          総陰丸に陰橘         石持ち地抜き橘         三つ盛り橘


2010/02/08 18:16 2010/02/08 18:16
この記事にはトラックバックの転送ができません。
YOUR COMMENT IS THE CRITICAL SUCCESS FACTOR FOR THE QUALITY OF BLOG POST